조사한 링크 보관
https://devlog-wjdrbs96.tistory.com/197
[Spring Boot] 클라이언트 REST API 응답보내기
이번 글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할 때 JSON 형태로 주는 것을 정리해보려 한다. 간단히 포스트맨으로 로그인 요청을 했을 때 로그인 성공, 실패의 응답을 주는 예제를 정리해보자. (
devlog-wjdrbs96.tistory.com
https://hyeonic.tistory.com/197
[SpringMVC] ResponseEntity 적용
개요 기존 프로젝트에는 단순히 값을 body에 담아 전달하기 위한 api 서버를 구성하였다. 하지만 프론트 개발자와의 원할한 통신을 위해서는 body 이외에 HTTP의 상태 코드와 헤더 정보를 좀 더 상세
hyeonic.tistory.com
https://thisisprogrammingworld.tistory.com/159
ResponseEntity 사용법
ResponseEntity란?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ResponseEntity는 HttpEntity를 상속(확장)하여 headers와 body를 포함하고, 추가로 HttpStatus 코드까지 함께 추가할 수 있는 클래스로, REST 컨트롤러 혹은 일..
thisisprogrammingworld.tistory.com
GitHub - clone-marketkurly/MarketCurly: 마켓컬리 클론코딩
마켓컬리 클론코딩. Contribute to clone-marketkurly/MarketCurl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https://tecoble.techcourse.co.kr/post/2021-05-10-response-entity/
ResponseEntity - Spring Boot에서 Response를 만들자
웹 서비스에서는 많은 정보를 송수신하게 됩니다. 각각의 다른 웹 서비스들이 대화하려면, 서로 정해진 약속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해서 보내야합니다. 보내는 요청 및 데이터의 형식을 우리는 H
tecoble.techcourse.co.kr
https://meetup.toast.com/posts/92
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: NHN Cloud Meetup
REST API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
meetup.toast.com
ResponseEntity (Spring Framework 5.3.19 API)
Extension of HttpEntity that adds an HttpStatus status code. Used in RestTemplate as well as in @Controller methods. In RestTemplate, this class is returned by getForEntity() and exchange(): ResponseEntity entity = template.getForEntity("https://example.co
docs.spring.io
https://a1010100z.tistory.com/106
[Spring] ResponseEntity는 왜 쓰는 것이며 어떻게 쓰는걸까?
기존 내 개인 프로젝트 코드의 RestController 반환값은 모두 Object 타입이었다. 하지만, 일반적인 API는 반환하는 리소스에 Value만 있지 않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을 것이다. 당장 생각나는 것으로는
a1010100z.tistory.com
https://devlog-wjdrbs96.tistory.com/197
[Spring Boot] 클라이언트 REST API 응답보내기
이번 글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할 때 JSON 형태로 주는 것을 정리해보려 한다. 간단히 포스트맨으로 로그인 요청을 했을 때 로그인 성공, 실패의 응답을 주는 예제를 정리해보자. (
devlog-wjdrbs96.tistory.com
'공부 > 자료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CP와 UDP (0) | 2022.04.07 |
---|---|
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해 회원관리하는 방법을 순서도 (0) | 2022.04.07 |
DI(의존성 주입)이란? (0) | 2022.04.05 |
스프링, 스프링 프레임워크란? (0) | 2022.04.03 |
DAO과 DTO그리고 Entity (0) | 2022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