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DE :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숨어 있는 언어

삼단논법 : 두 개의 전제가 참이라면, 결론도 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.
p155
모든 인간은 죽는다.
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. → 소크라테스는 죽는다
부울대수)
- 대수학의 연산자를 분리시켜 추상화하여 사용했습니다. (+, x 등)
- 연산자는 수가 아니라 종류(class)에 대하여 적용 → 종류는 집합을 의미
p151
p157
부울 ∪(합집합)와 ∩(교집합)으로 나타냅니다.
첫 번째 집합 “또는” 두 번째 집합 - > OR → +
첫 번째 집합 “과” 두 번째 집합 -> AND → x
“1 -” -> NOT
하얀색 고양이와 검정 암컷 고양이의 합집합 → 흰 or (검 and 여)

p. 152 ~ 154
갈 or 검 or 흰 or 주 = 1(전체 고양이)

1(전체 고양이) - 남 =여

남 and 여 = 0(공 집합)

1(전체 고양이) and 남 = 남

1 (전체 고양이) or 여 = 1 (전체 고양이)

남 + [1 -남 ] → “여” = 1 (전체 고양이)

남 and [1 - 남] = 0 “모순의 법칙”

p156, 158
부울 대수는 어떤 것이 판단 기준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“중성화된 수컷 고양인데, 하얀색이나 황갈색이었으면 좋겠어요. 아니면 중성화된 암컷 고양이에 하얀색만 아니면 괜찮을 것 같아요. 검정 고양이면 아무거나 괜찮을 것 같기도 하네요.”
(M and N and (W or T))
or
(F and N and (not W))
or
B

p.158 0과 1으로 대입
1 : 제시한 모든 조건이 만족
0 : 조건을 만족 시키지 못했을 때
p.159 and와 or
and → 피 연산자가 모두 1일 경우에만 1
or → 피연산자가 하나라도 1이 있으면 1
p. 160 식에 대입해서 참과 거짓을 판별 할 수 있습니다.
p 161 ~
스위치와 전구
직열 : AND
병렬 : OR
p169
찰스 배비지 : 차분기계를 만들기위해 → 근대 컴퓨터의 시조로 받아 들여지는 해석기관을 만들기 위해 인생을 바침 → 컴퓨터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기어와 레버를 사용함
전구와 스위치 → 전신의 릴레이
'공부 > 독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항해99 6기] CS모임 16챕터 : 메모리 (0) | 2022.03.31 |
---|